맞춤법
-
오늘은 일상에서 자주 혼동되는 두 단어, "가르치다"와 "가르키다"를 파헤쳐볼게요. 발음은 비슷하지만 뜻과 쓰임새가 완전히 달라서 잘못 쓰면 문장이 어색해질 수 있답니다. 사전적 의미부터 예문까지 꼼꼼히 정리했으니, 끝까지 읽고 나면 확실히 구분하실 수 있을 거예요! 1. "가르치다"란?사전적 의미: "가르치다"는 지식이나 기술, 행동 등을 다른 사람에게 배우게 하거나 깨우치게 하는 걸 뜻해요. 주로 교육이나 훈련과 관련된 상황에서 쓰입니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어떤 지식이나 기술 따위를 알게 하다" / "바른길로 이끌다".특징: 누군가에게 "가르침을 주는 행위"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요. 동작의 주체(가르치는 사람)가 중요하죠.어감: 조금 엄격하거나 체계적인 느낌이 들 수 있어요.사용 예시선생님이..
가르치다 vs 가르키다 이렇게 구분하세요!오늘은 일상에서 자주 혼동되는 두 단어, "가르치다"와 "가르키다"를 파헤쳐볼게요. 발음은 비슷하지만 뜻과 쓰임새가 완전히 달라서 잘못 쓰면 문장이 어색해질 수 있답니다. 사전적 의미부터 예문까지 꼼꼼히 정리했으니, 끝까지 읽고 나면 확실히 구분하실 수 있을 거예요! 1. "가르치다"란?사전적 의미: "가르치다"는 지식이나 기술, 행동 등을 다른 사람에게 배우게 하거나 깨우치게 하는 걸 뜻해요. 주로 교육이나 훈련과 관련된 상황에서 쓰입니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어떤 지식이나 기술 따위를 알게 하다" / "바른길로 이끌다".특징: 누군가에게 "가르침을 주는 행위"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요. 동작의 주체(가르치는 사람)가 중요하죠.어감: 조금 엄격하거나 체계적인 느낌이 들 수 있어요.사용 예시선생님이..
2025.03.12 -
율과 률 차이 통계에 주로 쓰이는 단어에는 율과 률이 주로 쓰이는 편입니다. 확률, 백분율, 이율 등에 많이 쓰이는데, 정확하게 알고 있지 않으면 종종 혼동이 오는 단어들 중 하나입니다. 받침이 있을 땐 률을 쓰고 아닌 경우에 율을 쓴다거나 하는 규칙이 있지만 확률은 받침이 있어서 률이 맞는데 백분율은 받침이 있어도 백분률이라고 하지 않고 백분율이라고 합니다. 왜그럴까요? 율, 률을 어떻게 써야 맞춤법에 맞게 쓸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율과 률을 사용하기 쉬운 규칙 받침이 없으면 "율"을, 받침이 있으면 "률"을 사용 기본적으로 율 또는 률 앞에 받침이 없는 경우에 율을 사용하고 받침이 있으면 률을 사용하면 됩니다. 확률, 사망률, 자살률 같이 앞에 받침이 있으면 률을 사용하고 이율, 감소율, 비율 ..
율, 률 차이와 사용법을 알아보자율과 률 차이 통계에 주로 쓰이는 단어에는 율과 률이 주로 쓰이는 편입니다. 확률, 백분율, 이율 등에 많이 쓰이는데, 정확하게 알고 있지 않으면 종종 혼동이 오는 단어들 중 하나입니다. 받침이 있을 땐 률을 쓰고 아닌 경우에 율을 쓴다거나 하는 규칙이 있지만 확률은 받침이 있어서 률이 맞는데 백분율은 받침이 있어도 백분률이라고 하지 않고 백분율이라고 합니다. 왜그럴까요? 율, 률을 어떻게 써야 맞춤법에 맞게 쓸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율과 률을 사용하기 쉬운 규칙 받침이 없으면 "율"을, 받침이 있으면 "률"을 사용 기본적으로 율 또는 률 앞에 받침이 없는 경우에 율을 사용하고 받침이 있으면 률을 사용하면 됩니다. 확률, 사망률, 자살률 같이 앞에 받침이 있으면 률을 사용하고 이율, 감소율, 비율 ..
2024.03.07 -
냄새가 베다? 배다? 옷이나 몸에 냄새가 스며들었을 때 표현하는 말로 냄새가 밴다, 벤다로 말하기도 합니다. 그럼 이 베다와 배다, 어떤 게 맞을까요? 냄새가 배다 (O) 냄새가 베다 (X) 냄새가 배다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배다와 베다의 의미 배다 액체나 냄새가 스며들다 뱃속에 아이나 새끼 또는 아이를 가지다 버릇이 되어 익숙해지다 베다 날이 서 있는 물건으로 어떤 물건을 끊거나 자르거나 가르다 누워서 어떤 물건을 머리 밑에 괴다 배다와 베다의 사전적 의미입니다. 배게 베개, 어떤게 맞을까? 배게와 베개 우리가 매일 같이 베고 자는 물건! 벌써 정답이 나간 것 같은데요. 배게가 맞을까요, 베개가 맞을까요? 베개 (O) 배게 (X) 베게 (X) 배개 (X) 베개가 올바른 말입니다. 베개의 의미 베개 ma..
냄새가 베다 배다, 어떤게 맞을까?냄새가 베다? 배다? 옷이나 몸에 냄새가 스며들었을 때 표현하는 말로 냄새가 밴다, 벤다로 말하기도 합니다. 그럼 이 베다와 배다, 어떤 게 맞을까요? 냄새가 배다 (O) 냄새가 베다 (X) 냄새가 배다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배다와 베다의 의미 배다 액체나 냄새가 스며들다 뱃속에 아이나 새끼 또는 아이를 가지다 버릇이 되어 익숙해지다 베다 날이 서 있는 물건으로 어떤 물건을 끊거나 자르거나 가르다 누워서 어떤 물건을 머리 밑에 괴다 배다와 베다의 사전적 의미입니다. 배게 베개, 어떤게 맞을까? 배게와 베개 우리가 매일 같이 베고 자는 물건! 벌써 정답이 나간 것 같은데요. 배게가 맞을까요, 베개가 맞을까요? 베개 (O) 배게 (X) 베게 (X) 배개 (X) 베개가 올바른 말입니다. 베개의 의미 베개 ma..
2024.01.12 -
배게와 베개 우리가 매일 같이 베고 자는 물건! 벌써 정답이 나간 것 같은데요. 배게가 맞을까요, 베개가 맞을까요? 베개 (O) 배게 (X) 베게 (X) 배개 (X) 베개가 올바른 말입니다. 베개의 의미 베개 단어를 뜯어보면, 베개 따위를 머리 아래에 받친다는 동사 "베다"와 행위를 하는 간단한 도구, 행위를 특정으로 지닌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개" 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즉, 우리가 흔히 알고 있듯이 머리 아래에 받치는 도구이고 그래서 베개로 씁니다. ㅐ와 ㅔ가 발음이 같아서 혼동할 수 있는 대표적인 단어 중 하나입니다. 머리에 "베는" 거니까 베개! 또는 도구니까 개! 앞은 개와 다르니까 베! 그래서 베개! 이렇게 생각하면 헷갈릴 때 한 번 더 상기하면서 아! 하고 쓸 수 있을 겁니다😀
배게 베개, 어떤게 맞을까?배게와 베개 우리가 매일 같이 베고 자는 물건! 벌써 정답이 나간 것 같은데요. 배게가 맞을까요, 베개가 맞을까요? 베개 (O) 배게 (X) 베게 (X) 배개 (X) 베개가 올바른 말입니다. 베개의 의미 베개 단어를 뜯어보면, 베개 따위를 머리 아래에 받친다는 동사 "베다"와 행위를 하는 간단한 도구, 행위를 특정으로 지닌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개" 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즉, 우리가 흔히 알고 있듯이 머리 아래에 받치는 도구이고 그래서 베개로 씁니다. ㅐ와 ㅔ가 발음이 같아서 혼동할 수 있는 대표적인 단어 중 하나입니다. 머리에 "베는" 거니까 베개! 또는 도구니까 개! 앞은 개와 다르니까 베! 그래서 베개! 이렇게 생각하면 헷갈릴 때 한 번 더 상기하면서 아! 하고 쓸 수 있을 겁니다😀
2024.01.05 -
하던지 말던지, 하든지 말든지? ~든지와 ~던지도 각각 의미를 부여하고 있어 때에 따라 맞게 써야 합니다. 역시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제목에 적은 것부터 봤을 때 하던지 말던지가 맞을까요? 아니면 하든지 말든지가 맞을까요? 하던지 말던지 (X) 하든지 말든지 (O) 선택의 의미가 들어가며 상관없음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보조사는 '~든지' 입니다. 든지, 던지 ~든지 1. '선택'의 의미를 갖고 있어 선택될 수 있음을 표현할 때 사용 2. 상관없음을 표현할 때 조사로써의 사용 ~던지 과거에 한 행동에 대해 생각하거나 추측할 때 사용 든지와 던지 사용에 대한 설명을 정리해 봤는데, ~든지는 A와 B 둘 중 무엇을 하던지 상관없다는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하고, ~던지는 과거의 상황을..
하던지 말던지? 든지? 던지? 뭐가 맞을까?하던지 말던지, 하든지 말든지? ~든지와 ~던지도 각각 의미를 부여하고 있어 때에 따라 맞게 써야 합니다. 역시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제목에 적은 것부터 봤을 때 하던지 말던지가 맞을까요? 아니면 하든지 말든지가 맞을까요? 하던지 말던지 (X) 하든지 말든지 (O) 선택의 의미가 들어가며 상관없음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보조사는 '~든지' 입니다. 든지, 던지 ~든지 1. '선택'의 의미를 갖고 있어 선택될 수 있음을 표현할 때 사용 2. 상관없음을 표현할 때 조사로써의 사용 ~던지 과거에 한 행동에 대해 생각하거나 추측할 때 사용 든지와 던지 사용에 대한 설명을 정리해 봤는데, ~든지는 A와 B 둘 중 무엇을 하던지 상관없다는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하고, ~던지는 과거의 상황을..
2023.11.28 -
정답을 맞추다? 맞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정답을 맞추다, 맞히다는 정답을 맞히다가 맞습니다. 맞히다의 발음이 [마치다]이고, 우리가 친구들과 말하는 말 중 야! 나 정답 [마쳤어]! 라고 하는 말은 곧 "야! 나 정답 맞혔어!"를 발음한 것입니다. 그런데, 다음 문장을 하나 보겠습니다. 친구와 정답을 맞췄다 틀릴까요, 맞을까요? 여기서는 정답을 맞췄다도 맞는 말입니다. 분명 처음에 정답을 맞히다가 맞다고 했는데, 왜 이번에는 맞췄다도 맞다고 했을까요? 맞추다, 맞히다 맞추다와 맞히다는 사전적 의미가 서로 다릅니다. 우선 사전적 의미를 확인해 볼까요. 맞히다 👉 문제에 대한 답을 틀리지 않게 하다. 맞추다 👉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 👉 둘 이상의 일정한 대상들을 나란히 놓고..
정답을 맞추다, 맞히다, 어떤게 맞을까?정답을 맞추다? 맞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정답을 맞추다, 맞히다는 정답을 맞히다가 맞습니다. 맞히다의 발음이 [마치다]이고, 우리가 친구들과 말하는 말 중 야! 나 정답 [마쳤어]! 라고 하는 말은 곧 "야! 나 정답 맞혔어!"를 발음한 것입니다. 그런데, 다음 문장을 하나 보겠습니다. 친구와 정답을 맞췄다 틀릴까요, 맞을까요? 여기서는 정답을 맞췄다도 맞는 말입니다. 분명 처음에 정답을 맞히다가 맞다고 했는데, 왜 이번에는 맞췄다도 맞다고 했을까요? 맞추다, 맞히다 맞추다와 맞히다는 사전적 의미가 서로 다릅니다. 우선 사전적 의미를 확인해 볼까요. 맞히다 👉 문제에 대한 답을 틀리지 않게 하다. 맞추다 👉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 👉 둘 이상의 일정한 대상들을 나란히 놓고..
2023.11.27 -
찾아뵈다, 찾아봬다? 뵈다와 봬다는 되다, 돼다와 같이 문장에 따라 다르게 쓰이는데요. 찾아뵈다, 찾아봬다를 놓고 봤을 땐, 찾아뵈다 (O) 찾아봬다 (X) 찾아뵈다가 맞습니다. 뵈다로 쓸 때도 있는데 어떨 때 써야 할까요? 문장에 따라 달라지는 뵈다, 봬다 뵈다, 봬다는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즉, 보다의 높임말인데요. 봬다에서 봬는 뵈어의 준말입니다. "뵈어 + 다"인 거죠. 찾아뵈다를 다시 보면, 찾아뵈다와 찾아뵈어다로 바꿀 수 있고 이러면 찾아뵈어다가 말이 이상합니다. 다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그분을 뵈면 누가 생각난다. 👉 그분을 뵈어면 누가 생각난다. (X) 뵈어로 쓰면 이상합니다. 그래서 봬를 쓰지 않고 뵈를 씁니다. 할아버지를 뵀을 때 기분이 좋았다. 👉 할아버..
찾아 뵈다와 봬다, 뭐가 맞을까?찾아뵈다, 찾아봬다? 뵈다와 봬다는 되다, 돼다와 같이 문장에 따라 다르게 쓰이는데요. 찾아뵈다, 찾아봬다를 놓고 봤을 땐, 찾아뵈다 (O) 찾아봬다 (X) 찾아뵈다가 맞습니다. 뵈다로 쓸 때도 있는데 어떨 때 써야 할까요? 문장에 따라 달라지는 뵈다, 봬다 뵈다, 봬다는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즉, 보다의 높임말인데요. 봬다에서 봬는 뵈어의 준말입니다. "뵈어 + 다"인 거죠. 찾아뵈다를 다시 보면, 찾아뵈다와 찾아뵈어다로 바꿀 수 있고 이러면 찾아뵈어다가 말이 이상합니다. 다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그분을 뵈면 누가 생각난다. 👉 그분을 뵈어면 누가 생각난다. (X) 뵈어로 쓰면 이상합니다. 그래서 봬를 쓰지 않고 뵈를 씁니다. 할아버지를 뵀을 때 기분이 좋았다. 👉 할아버..
2023.11.27 -
굳이, 궂이, 구지? "고집을 부려 구태여"라는 말로 우리가 흔히 쓰는 단어에서 굳이, 궂이, 구지 등의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의미로 쓰는 말은 굳이 (O) 궂이 (X) 구지 (X) 굳이가 맞습니다. 부가설명 구지 : 땅의 가장 낮은 곳 구지는 사전에 등재된 단어긴 하나 평소에 잘 쓰는 단어는 아닙니다. "굳이"를 발음할 때 구지로 발음되다 보니 구지인가? 하는 혼동에서 온 겁니다. 궂다 : 비나 눈이 내려 날씨가 나쁨, 언짢고 나쁨 ex) 비바람에 날씨가 궂네, 왜 궂은일에만 친구니 가족이니 하는 거니? 궂다는 날씨가 좋지 않거나 나쁜 것을 뜻하는 의미입니다. 둘 다 존재하는 단어이지만 역시 우리가 흔히 쓰는 굳이의 의미는 아닙니다. 굳이, 궂이는 결국 단어의 의미를 우리가 정확하게 알고 있지..
굳이? 궂이? 구지? 뭐가 맞을까?굳이, 궂이, 구지? "고집을 부려 구태여"라는 말로 우리가 흔히 쓰는 단어에서 굳이, 궂이, 구지 등의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의미로 쓰는 말은 굳이 (O) 궂이 (X) 구지 (X) 굳이가 맞습니다. 부가설명 구지 : 땅의 가장 낮은 곳 구지는 사전에 등재된 단어긴 하나 평소에 잘 쓰는 단어는 아닙니다. "굳이"를 발음할 때 구지로 발음되다 보니 구지인가? 하는 혼동에서 온 겁니다. 궂다 : 비나 눈이 내려 날씨가 나쁨, 언짢고 나쁨 ex) 비바람에 날씨가 궂네, 왜 궂은일에만 친구니 가족이니 하는 거니? 궂다는 날씨가 좋지 않거나 나쁜 것을 뜻하는 의미입니다. 둘 다 존재하는 단어이지만 역시 우리가 흔히 쓰는 굳이의 의미는 아닙니다. 굳이, 궂이는 결국 단어의 의미를 우리가 정확하게 알고 있지..
2023.11.23